gFinger 손끝으로 만드는 세상

 

20여년전 처음 컴퓨터를 배울때 Apple ][+의 저장 매체는 카세트 테이프 였다.

카세트 테이프에 프로그램을 저장해서 LOAD 명령과 SAVE 명령으로 프로그램을 저장 하고 불러 들이는 방식이었다.

카세트 테이프는 속도도 느리고 에러율도 많아 그 후 5.25 인치 FLOPPY DISK를 사용하였다.

(참고로 플로피 디스크를 디스켓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디스켓은 제품명이라고 한다. 마치 스카치 테이프가 제품명인 것 처럼 디스켓도 플로피 디스크를 일컷는 말로 쓰이지만.)

<Floppy Disk>

당시 Apple ][+의 하드 디스크는 매우 비싸서 사용할 엄두도 내지 못했고 1986~1987년 경 IBM PC-XT가 대중화 되면서 초장기에는 계속 Floppy Disk를 사용 했으나 점점 하드 디스크의 사용이 본격화 되는 추세 였다.

<IBM PC XT 호환 기종>

그동안 여러가지 컴퓨터용 저장 매체를 사용 하면서 아쉬웠던 점은 대부분의 저장 매체가 종이의 장점을 넘어설 만큼이 되지 못하는 구나 하는 아쉬운 점이었다.


물론 단위 면적당 저장 면적으로 따지면 플로피 디스크나 하드 디스크에 비할바 가 못되지만 보관의 기간이나 부분 소실에 대한 복구 가능성등의 점에서는 아직 따라 오지 못한다.

몇백년전에 만든 종이에 쓰여진 유산들이 아직까지 전해 내려오는것을 보면 그 차이는 너무나 엄청 나다.

하드 디스크의 경우 수명은 길어야 10여년이고 공기중에 보관하면 사용 하지 않더라도 기계적인 부분이 산화되는 등의 문제로 언제까지 보관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구운 CD의 경우도 보관 기간이 5년여라고 하는 말도 있는데 아주 좋은 조건의 CD는 200년까지라고 하는 이야기도 있다.

그래도 금이간 CD의 경우는 끝이다.

그러나 찟어진 종이는 붙이거나 부분 복구가 가능하다. 또 불에 타도 완전히 타지 않으면 부분 복구도 가능 하다.

또하나 지금의 CD를 읽을 수 있는 기계가 언제까지 계속 보관되고 사용 될 것 인지도 의문이다.

CD가 잘 보관되어 있다 하더라도 1~2백년 후 그것을 읽을 수 있는 기계가 없다면 끝난것이다.

아니 1~2백년이 아니어도 2~30여년 후에도 현재의 CD를 읽을 수 있는 기계를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리라고는 생각 하기 어렵다.

또한 지금의 그림을 저장하는 JPG 파일이나 PNG 파일의 포멧으로된 자료를 재생해 볼 수 있는 기계는 언제까지 판매 될 까 ?

종이의 경우는 데이터 포멧을 생각할 필요 없고 그것을 재생하는 기계가 필요 없이 눈으로 보면 되니 아주 편하다.

위와 같은 점을 생각하면 종이는 엄청난 장점을 가진 매체라는것을 실감 할 수 밖에 없다.

 

얼마전에도 수많은 사진을 넣어 놓은 하드 디스크의 자료들을 조그만 충격 때문에 모두 잃어 버린 일을 생각 하면 매체의 신뢰성과 편리함 등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본다.

 

수많은 저장 매체가 사용되는  요즘 신뢰성과 편리함을 지닌 종이와 같은 매체는 없는 것 일 까 ?


PDF 뷰어를 이것 저것 써봤지만 별로 만족을 못느끼고 있었다.

지금까지 쓰고 있는 제일 마음에 드는 PDF 뷰어는 PDF-XChange이다.

속도도 빠르고 각종 툴이 있어서 PDF 문서에 추가 정보나 도형을 그려 넣을 수도 있는 만족해서 쓰고 있는 툴이다.

 

<PDF X-Change>

 

마음에 드는 기능중 하나는  왼쪽 하단의 옵션이라고 표시 되어 있는 부분의 기능인데 Show/Hide All Bars라는 메뉴를 선택 하면 때로는 군더더기 같은 툴바 또는 메뉴를 없앨 수 있다.

 

또 PDF 문서에 코멘트를 달거나 각종 그림이나 도형을 그려 넣을 수 있는 툴들을 제공 하고 있다.

 

Preferences에서는 여러가지 선택 사항을 조절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하는데 특히,  Performace에 관한 기능을 다양하게 제공 하고 있어 유저의 입맛에 맛게 속도와 관련된 설정을 조정 할 수 있다.

 

관련 홈페이지 링크는….

http://www.pdfxviewer.com/

 

기존에 사용하던 주소가 새주소로 바뀐다는 방송 광고가 텔레비젼에 자주 나오고 있다.

그래서 새주소 안내 사이트에 내가 살고 있는 주소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 알고 싶어 가보았더니 동번호가 잘못 되어 있다.

네이버에는 정확하게 나와있는데… 나중에 고쳐 지겠지…

 

현재 지역 기준 44% 정도 완료 되었다고 하니 검색이 되지 않는 지역이 56% 정도 있는 모양이다.

포항 같은 경우는 새주소 사업이 진행 중인 지역으로 아직 검색이 안된다.

 

2012년 이후에는 새로운 주소만 사용 한다고 한다.

1997년 부터 시작 되어 현재 2008년이니 10여년 사업을 했나보다.

네이버 지도에는 어떻게 나오는지 궁금해서 동일한 부분을 비교 해 보았다.

새주소에 나오는 지도가 조금 확대가 더되고 건물명 표시가 잘되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지도의 깨끗함등 많은 면에서 NAVER의 지도가 우수해 보인다.

 

하여튼 새주소를 알고 싶으면 아래 링크로….

http://www.juso.go.kr/

 

<새주소 지도>

 

<네이버 지도>

 

원활한 블로깅을 위한 저작권 가이드라는 글이 있어 잊어 버리지 않으려고 링크를 걸어 놓는다.

http://s2news.net/2008/10/01/for-easy-blogging-copyright-guide/

 

당구장에 가면 항상 보는 시간 카운트용 컴퓨터가 있다.

생긴것은 꼭 Apple ][ Computer인데…

 

Apple Computer에 80 컬럼 한글 보드가 포함된 컴퓨터라고 생각되는데 동아 컴퓨터와 세미전자라는 곳에서 보급 하는 모양이다.

이전엔 3327 한글을 사용 했던 당구장 컴퓨터를 본적도 있었다.

한창 애플 컴퓨터가 사용되고 마지막쯤엔 80 컬럼 출력 카드 (이름은 기억이 잘안난다..Vertex???)에 한글을 심어 정원 한글 카드 (???)라는 하드웨어 한글 카드 까지 나왔던것으로 기억하는데…

    

 

위 컴퓨터의 정체를 인터넷에서 찾아 보던중 재미 있는 당구장 컴퓨터의 선전 문구를 보았다. ^^;


7310 분해기를 보고 어느분이 키보드 분해를 어떻게 하느냐고 물으셔서 참고 사진을 올린다.

 

대부분의 노트북 키보드가 비슷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노트북에도 조금은 참조가 될 것 같다

 

아래 그림 처럼 F1 키 위쪽 상단에 조그만 돌기가 있는데 저것이 노트북 키보드를 아래로 누르고 있는 걸쇠 같은 것이다.

이것이 노트북에 따라 위아래로 몇개가 있고 그것으로 노트북 키보드가 고정 되어 있다.

 이것을 하나씩 누르면서 키보드를 살짝 들어 올리고 들어 올린 상태에서 두번째 돌기를 다음 세번째 돌기를 누르면 키보드가 분해 된다.
키보드는 탄력성이 있기 때문에 들어 올리면서 약간 휘어진다. (너무 휘어지면 ..... 조심...)
익숙하지 않으면 들어 올려진 부분은 이쑤시게나 작은 드라이버등으로 아래를 받쳐주면 다시 원래 상태로 복구 되는것을 방지 할 수 있을 것이다.

<F1> 키보드 위의 키보드 고정용 돌기

 

<F6> 키보드 위의 키보드 고정용 돌기

 

 

<F12> 키보드 위의 키보드 고정용 돌기

 

위와 같이 돌기를 누르면서 키보드를 들어 올리면 키보드가 본체로 부터 들어 올려진다.

 

'컴퓨터 이야기 >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Q950 KTEC MOUSE 개봉기  (4) 2009.04.07
CME M-KEY  (0) 2009.03.04
LG FLATRON W2252TQ DRIVER  (0) 2009.03.03
노트북 7200 RPM HDD로 날개 달다.  (0) 2008.12.07
자우르스용 무선랜 카드를 찾았다.  (2) 2008.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