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Finger 손끝으로 만드는 세상

 

스마트폰이 도입되면서 인당요금의 증가로 통신사와 폰 제조사는 겉으로는 으르렁거리지만 뒤 돌아서서 돈뭉치를 들고 세고 있다.
신문과 방송에서는 스마트 폰 세계 대전이 일어난 것처럼 떠들고 있다.
그러나 그 메아리는 품질의 향상이나 요금의 인하가 아니고 오히려 몇 조의 광고를 대신 해준 결과를 만들어 버렸다.

 

 

 

 

 

 

 

스마트 폰 유저는 일반 유저의 평균 요금 보다 30% 정도 요금을 더 내고 있다고 하니 스마트폰은 휴대전화 시장의 새로운 블루오션이 되었다.

휴대폰 시장의 가입자 증가가 한계에 달한 상황에서 30%의 요금 상승은 이동 통신사를 미소 짓게 할 수 밖에 없다.

여기에는 아이폰이 스마트폰 시장의 촉매제로 큰 역할을 한 것 이 틀림없다.

 

스마트폰의 본격적인 발표와 치열한 스마트폰 경쟁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이끌어 내면서 스마트폰의 진정한 무선 시대를 앞당겼다.

여러 가지 면에서 찬사를 받을 만한 기계이며 스마트폰을 이끄는 선두 주자로 아이폰은 찬사를 받았다.

그러나 국내 휴대폰 업체와 소수의 외산 휴대폰 시장이 전부 이던 시장에 아이폰이 도입 되면서 소비자 입장에서는 별로 바람 직 하지 못한 모델을 만든 아쉬운 부분도 있다.

 

 

 

 

 

먼저 아이폰이 가져온 것은 장사를 하는 방식의 변화다.

지금까지 친숙한 방식은 물건을 열심히 만들고 CF를 방영하면서 전자 제품을 구입 해 달라고 하는 방식이었다.

이제는 아주 제한된 제품의 판매 방식인 유저들을 줄 세워 판매하는 시대로 바뀌었다.

 

 

 

물건을 쌓아 놓고 손님을 찾는 것이 이전까지의 방식이라면 요즘은 예약을 하고 며칠에서 몇 달까지 기다리는 것이 요즘의 구입 방식이다.

삼성 또한 스마트폰을 예약해서 판매하는 시스템으로 바꿔 버리면서 아이폰과 겨루고자 한다.

기계를 만들기 위한 부품 부족이나 생산 능력 부족이 아닌 마케팅의 승리라고 의심할 만한 사건이다.

 

 

그리고 이것은 통신사와 제조사의 완전한 승리이며 전쟁에서 패자는 LG. 삼성, SK. KT 누구도 아니고 소비자의 패배다

 

완성된 제품을 그날 저렴한 요금에 구입하는 시대에서 예약하고 하염없이 기다려야 하고 또 높은 휴대폰 요금에 노예 계약까지 해야 하는 관례와 시대를 열어 준 것이다.

 

일단 이렇게 높아진 휴대폰 요금과 판매 방식을 다시 원점으로 돌리기까지는 또 얼마나 힘든 과정을 거쳐야 할 것 일까?

 

아이폰이 오기 전까지 국내 A/S 정책은 외국인 들이 한국에 고객 지향적인 우수함과 편리함에 찬사를 아끼지 않을 정도였다.

고장 난 기계를 가져가면 소비자의 과실이 어느 정도 있다 하더라도 말만 잘하면 약간은 눈감고 고쳐 주던 시대였다.

그러나 이제 소비자는 생산자의 냉정하고 칼 같은 처분 만을 기다리는 A/S 정책에 벌벌 떨게 되었다.

휴대폰 보험이라는 평소에는 듣지도 보지도 못한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기에 이르렀다.

 

아이폰이 도입 되면서 공정한 경쟁과 성능과 그리고 품질, 신기술 경쟁을 이끌어 내는 시대로 이끌었다.

그러나 소비자에게는 바람 직 하지 못한 제도까지 도입 되었으니 안타까울 다름이다.

 

 

 

당장은 새로운 기계를 도입하고 변화를 맛보고 만지느라 정신이 없지만 장기적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인한 후 폭풍 또한 만만하지 않을 것이다.

 

제품의 우수성과 능력도 경쟁의 바람 직한 그리고 사랑 받을 요소이지만 소비자를 바라보는 마케팅 방식 그리고 우수한 A/S가 경쟁력의 큰 요소 임을 기업이 잊고 있을 때 유저들은 그것을 잊지 않고 있을 것이다.

 

그것이 우리가 아이폰을 바라 보는 또 하나의 시선이다.